티스토리 뷰
배너로 돈을 벌려면 블로그 관리를 잘 해서 많은 분들이 방문 하도록 해야 합니다. 아무도 방문 하지 않는 블로그로 수익을 낸다는 것은 무리이겠죠. 그럼 배너 광고 붙이는 방법을 초 간단하게 알려 드릴께요~
1. 구글의 애드센스 (google adsense) 가입하기
http://www.google.com/adsense 에 가서 가입을 완료 하면 2~3일 후에 등록된 메일로 아래와 같은 가입 성공 메일이 옵니다.
2. 구글 에드센스 홈페이지 에서 배너 광고 스크립트를 가져온다.
구글 애드센스 계정으로 로그인 한후 아래 보이는 "내 광고 -> 새 광고 단위" 를 클릭 하세요.
아래 그림에
1. 이름 입력 하세요.
2. 사용할 배터 크기를 선택 하세요. 크기를 잘 모르시겠거든 바로 아래 있는 "광고 유형 및 크기의 예 보기" 를 클릭하시면 예제로 나옵니다.
3. 이미지 광고를 원하실때 "이미지/리치 미디어 광고" 를 선택 하시면 됩니다.
4. "저장 및 코드 생성" 버튼을 누루면 광고 스크립트가 생성 됩니다.
자.. 드디어 광고 스크립트가 성공적으로 작성 되었습니다.
코드를 클릭 해서 복사 하세요. 이 코드를 tistory 의 블로그에 넣으면 끝납니다.
3. tistory (티스토리) 에 로그인 한후 자신의 블로그에 광고 스크립트 적용 하기
이제 광고 스크립트를 적절한 위치에 넣기만 하면 광고가 달기가 완료 됩니다.
검색으로 </s_sd_div> 를 찾은후 그 바로 아래에 위에서 복사한 스크립트를 붙여 넣기 합니다.
광고를 조금더 보기 좋은 곳에 위치 시키기 위해서 <div class 를 이용하였으며
광고 위 아래 간격을 조절 하기 위해서 <br /> 몇개를 삽입하였습니다. 굳이 않하셔도 되는 부분이겠네요.
<div class 를 사용 하시는 분은 그 아래에 있는 "style.css" 에 아래와 같은 코드를 삽입한후 "저장" 버튼을 클릭하여
스타일을 적용 하면 배너 달기의 모든 과정이 완료 됩니다.
아래는 skin.html 에 사용했던 코드 및 style.css 에서 사용한 코드 입니다. 타이핑 하기 귀찮으시면 복사해서 사용 하세요.
단, skin.html 에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자신의 코드 번호를 넣으셔야 합니다.
[skin.html]
배너로 돈을 벌려면 블로그 관리를 잘 해서 많은 분들이 방문 하도록 해야 합니다. 아무도 방문 하지 않는 블로그로 수익을 낸다는 것은 무리이겠죠. 그럼 배너 광고 붙이는 방법을 초 간단하게 알려 드릴께요~
1. 구글의 애드센스 (google adsense) 가입하기
http://www.google.com/adsense 에 가서 가입을 완료 하면 2~3일 후에 등록된 메일로 아래와 같은 가입 성공 메일이 옵니다.
2. 구글 에드센스 홈페이지 에서 배너 광고 스크립트를 가져온다.
구글 애드센스 계정으로 로그인 한후 아래 보이는 "내 광고 -> 새 광고 단위" 를 클릭 하세요.
아래 그림에
1. 이름 입력 하세요.
2. 사용할 배터 크기를 선택 하세요. 크기를 잘 모르시겠거든 바로 아래 있는 "광고 유형 및 크기의 예 보기" 를 클릭하시면 예제로 나옵니다.
3. 이미지 광고를 원하실때 "이미지/리치 미디어 광고" 를 선택 하시면 됩니다.
4. "저장 및 코드 생성" 버튼을 누루면 광고 스크립트가 생성 됩니다.
자.. 드디어 광고 스크립트가 성공적으로 작성 되었습니다.
코드를 클릭 해서 복사 하세요. 이 코드를 tistory 의 블로그에 넣으면 끝납니다.
3. tistory (티스토리) 에 로그인 한후 자신의 블로그에 광고 스크립트 적용 하기
이제 광고 스크립트를 적절한 위치에 넣기만 하면 광고가 달기가 완료 됩니다.
검색으로 </s_sd_div> 를 찾은후 그 바로 아래에 위에서 복사한 스크립트를 붙여 넣기 합니다.
광고를 조금더 보기 좋은 곳에 위치 시키기 위해서 <div class 를 이용하였으며
광고 위 아래 간격을 조절 하기 위해서 <br /> 몇개를 삽입하였습니다. 굳이 않하셔도 되는 부분이겠네요.
<div class 를 사용 하시는 분은 그 아래에 있는 "style.css" 에 아래와 같은 코드를 삽입한후 "저장" 버튼을 클릭하여
스타일을 적용 하면 배너 달기의 모든 과정이 완료 됩니다.
아래는 skin.html 에 사용했던 코드 및 style.css 에서 사용한 코드 입니다. 타이핑 하기 귀찮으시면 복사해서 사용 하세요.
단, skin.html 에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자신의 코드 번호를 넣으셔야 합니다.
[skin.html]
<--이걸 복사하셔서, 찾기에 넣어주세요!! 바로 찾아 지죠?</P>
그러면, 이거 윗부분!! 그림보시죠!!
의 바로 위에 광고소스를 넣으시면 상단에 뜨고, 바로 아래에 넣으시면 광고소스가 하단에 뜹니다!!
너무 쉽죠!!!!!!! 이제 광고 넣기는 끝났습니다!!!
그러면, 이거 윗부분!! 그림보시죠!!
<--이걸 복사하셔서, 찾기에 넣어주세요!! 바로 찾아 지죠?</P> 그러면, 이거 윗부분!! 그림보시죠!! 의 바로 위에 광고소스를 넣으시면 상단에 뜨고, 바로 아래에 넣으시면 광고소스가 하단에 뜹니다!! 너무 쉽죠!!!!!!! 이제 광고 넣기는 끝났습니다!!!
배너로 돈을 벌려면 블로그 관리를 잘 해서 많은 분들이 방문 하도록 해야 합니다. 아무도 방문 하지 않는 블로그로 수익을 낸다는 것은 무리이겠죠. 그럼 배너 광고 붙이는 방법을 초 간단하게 알려 드릴께요~
1. 구글의 애드센스 (google adsense) 가입하기
http://www.google.com/adsense 에 가서 가입을 완료 하면 2~3일 후에 등록된 메일로 아래와 같은 가입 성공 메일이 옵니다.
2. 구글 에드센스 홈페이지 에서 배너 광고 스크립트를 가져온다.
구글 애드센스 계정으로 로그인 한후 아래 보이는 "내 광고 -> 새 광고 단위" 를 클릭 하세요.
아래 그림에
1. 이름 입력 하세요.
2. 사용할 배터 크기를 선택 하세요. 크기를 잘 모르시겠거든 바로 아래 있는 "광고 유형 및 크기의 예 보기" 를 클릭하시면 예제로 나옵니다.
3. 이미지 광고를 원하실때 "이미지/리치 미디어 광고" 를 선택 하시면 됩니다.
4. "저장 및 코드 생성" 버튼을 누루면 광고 스크립트가 생성 됩니다.
자.. 드디어 광고 스크립트가 성공적으로 작성 되었습니다.
코드를 클릭 해서 복사 하세요. 이 코드를 tistory 의 블로그에 넣으면 끝납니다.
3. tistory (티스토리) 에 로그인 한후 자신의 블로그에 광고 스크립트 적용 하기
이제 광고 스크립트를 적절한 위치에 넣기만 하면 광고가 달기가 완료 됩니다.
검색으로 </s_sd_div> 를 찾은후 그 바로 아래에 위에서 복사한 스크립트를 붙여 넣기 합니다.
광고를 조금더 보기 좋은 곳에 위치 시키기 위해서 <div class 를 이용하였으며
광고 위 아래 간격을 조절 하기 위해서 <br /> 몇개를 삽입하였습니다. 굳이 않하셔도 되는 부분이겠네요.
<div class 를 사용 하시는 분은 그 아래에 있는 "style.css" 에 아래와 같은 코드를 삽입한후 "저장" 버튼을 클릭하여
스타일을 적용 하면 배너 달기의 모든 과정이 완료 됩니다.
아래는 skin.html 에 사용했던 코드 및 style.css 에서 사용한 코드 입니다. 타이핑 하기 귀찮으시면 복사해서 사용 하세요.
단, skin.html 에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자신의 코드 번호를 넣으셔야 합니다.
[skin.html]
너무 쉽죠!!!!!!! 이제 광고 넣기는 끝났습니다!!!
- clr
- 서울데이트 코스
- 4차산업혁명
- C#기초
- MSSQL
- MS-SQL
- 장범준
- 집밥백선생
- DateTime
- 서울 데이트
- 백종원
- 화재
- 데이트
- 마이리틀
- 엔플라잉
- 지진
- 서울 데이트코스
- JavaScript
- 집밥
- 자바스크립트
- 볼빨간사춘기
- 백선생
- 레시피
- c#
- 함수
- 집밥 백선생
- ASP.NET
- ASP
- 지진속보
- SQL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